드라마 속 소재로 익숙했던 연상녀-연상남 커플, 이제는 주위에서도 흔히 볼 수 있죠. <br /> <br />지난해 결혼한 초혼 부부의 나이 차이를 봤더니, 5쌍 가운데 1쌍이 연상녀-연하남 부부였습니다. <br /> <br />10년 전 연상녀-연하남 부부의 비율은 15.6%였는데, 10년 사이 3.8%p 증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결혼 자체는 줄고 있지만, 연상녀, 연하남 혼인 건수는 매년 꾸준히 늘어났는데요. <br /> <br />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신부가 1살 더 많은 부부의 증가세가 눈에 띄는데요. <br /> <br />4살 차이는 궁합도 안 본다는 옛말이 무색하게 이제는 4살 연상 신랑보다 1살 연상 신부가 많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1990년만 해도 남성이 네 살 많은 초혼 부부가 한 살 많은 초혼 부부의 3배 가까이 됐는데요. <br /> <br />이후 그 차이가 점차 줄면서 지난해에는 이 비율이 뒤집혔습니다. <br /> <br />연상녀-연하남 커플이 늘어나는 배경은 다양합니다. <br /> <br />먼저 여성들의 높아진 사회적 지위가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오는데요. <br /> <br />여성의 경제적 자립도가 높아진 만큼 결혼 준비가 덜 된 연하남에 대한 거리낌이 상대적으로 줄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결혼정보회사에서는 경제력이 좋은 여성도 남성과 마찬가지로, 남성의 조건보다는 외모나 어린 나이를 선호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고 봤는데요. <br /> <br />또 가부장적 가치관이 점차 사라지는 사회 분위기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남편에게 남성으로, 아내로서 여성에게 바라는 기대치의 고정관념이 크게 줄었다는 거죠. <br /> <br />인구 구조적 배경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여성 평균 초혼연령은 1990년만 해도 24.8세였는데, 이후 점차 올라가면서 2010년에는 28.9세 지난해는 31.3세가 됐는데요. <br /> <br />30대 이후까지 미혼으로 남은 여성이 많다 보니 연하를 만날 가능성도 커진 겁니다. <br /> <br />결혼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보다 보니, 나이는 숫자, 마음이 진짜라는 노랫말이 떠오르죠. <br /> <br />곧 여성 인구가 남성 인구를 추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는 만큼, 연상녀와 연하남의 만남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엄지민 (thumb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321144328376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